티스토리 뷰
주휴수당 계산기, 계산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도 대학교를 다닐때 군대를 가기 전에 아르바이트를 하였습니다. 사실 최저임금은 알고 있었지만 최근까지도 주휴수당이라는 개념은 잘 모르고 있었습니다. 알아야 나의 권리를 찾을 수 있다고 아르바이트를 하느라 고생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주휴수당이랑 무엇인가? 근로기준법 제55조를 보시면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여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렇지만 아르바이트의 경우 유급휴일을 주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시간제로 지속적으로 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요. 그렇다면 유급휴일에 따른 수당을 지급해야하는데. 1주일에 15시간 이상을 일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을 알면 계산할 수 있지만 잘못 계산할 수도 있고 간단한 것 같으면서도 의외로 복잡합니다. 그래서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해서 간단하게 계산해 보겠습니다.
알바몬에서 제공하는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할 것 입니다. alba.calculate.kr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사이트로 이동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일주일 동안 총 근로시간과 시간현재 시급(시간당 급여)를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클릭하면 나의 예상 주휴수당 금액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같이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루에 5시간씩 5일을 근무하였을 경우 25시간입니다. 시간현재 시급은 6,500원으로 하였을 경우 수당은 32,500원입니다. 사실 아르바이트를 5일근무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7일로 다시 계산해보겠습니다.
5시간씩 7일 일하였을 경우 35시간 입니다. 시간현재 시급(시간당 급여)는 6,500원으로 하였을 경우 45,500원입니다. 7일 중 1.5일을 일해야 받을 수 있는 금액입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주휴수당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 계산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내용은 참고하시고 간단하게 계산하시면 됩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