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추석 차례지내는순서를 안내합니다. 먼저 중추절, 가배, 가위, 한가위라고도 하며 한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시기이므로 가장 풍성한 명절입니다. 고대사회의 풍농제에서 유래했으며 신라와 고려시대에도 추석명절을 지냈으며 조선시대에 국가적으로 선대왕에게 추석제를 지낸 기록이 있다고 합니다. 추석날 아침에는 차례를 지내고 성뮤를 가서 여름비에 무너진 무덤 보수와 벌초를 합니다.
차례상에 올리는 제물은 햇곡으로 준비하여 조상에게 선보이며 1년 농사의 고마움을 조상에게 전하는 날입니다. 성주, 터주, 조상단지 같은 집안신들도 햇곡식으로 천신하며 추석치성을 올립니다. 추석에는 씨름, 거북놀이, 줄다리기 소놀이 등 다양한 민속놀이도 행해졌으며 수확철이라 다양한 음식을 선보이며 추절시식이라하여 햅쌀로 술을 빚고 송편을 만들며 무나 호박을 넣어 시루떡이나 인절미, 율단자도 만듭니다. 날짜는 음력으로 8월15일 입니다.
추석은 지금까지도 우리 민족의 고유한 명절로 자리잡고 있으며 추석이 되면 많은 사람이 고향을 찾아갑니다. 지금까지 안내한 내용은 다음백과에 나와 있는 내용으로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시면 추가적으로 자세한 내용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추석 차례지내는순서와 함께 차례 상차림 지방 쓰는법 등을 안내하겠습니다.
1. 강신(조상님을 맞이한다) : 제주(장자 또는 장손)가 앞에 나아가 향을 피우고 집사자(차례를 돕는 사람)가 술을 따라주면 쌀을 담아둔 그릇에 3번 나누어 붓는다. 제주가 2번 절한다. 2. 참신(조상님께 인사를 드린다) : 차례에 참석한 모든 가족이 두번 절을 하는데, 음양의 원리에 따라 남자는 두번, 여자는 네 번 절하기도 한다. 3. 헌작(조상님께 잔을 올린다) : 각 신위마다 잔을 올려야 하며 제주가 직접 바로술을 따르거나 집사자가 따라주기도 한다.
4. 계반삽시(조상님의 식사를 돕는다) : 메(밥)의 뚜껑을 열어 숟가락을 꽃고, 젓가락은 적(구이)이나 편에 올려놓는다. 설날 때에는 떡국에 숟가락을 올려 놓고, 추석 때에는 송편에 젓가락을 올려놓는다. 5. 합문(조상님이 식사하실 시간을 드린다) :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은 밖으로 나가 문을 닫으며, 어쩔 수 없는 경우 모두 무릎을 꿇고 잠시 기다린다. 6. 철시복반(음식 뚜껑을 덮는다) : 숟가락을 거두고 음식의 뚜껑을 닫는다. 추석 때에는 송편에 올려 놓은 젓가락을 내린다.
7. 사신(모셨던 조상님을 배웅한다) :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은 모두 두 번 절한다. 이때도 남자는 두번, 여자는 네 번 절을 하기도 한다. 절을 한 후, 차례에 사용했던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8. 철상(차례 음식과 도구를 정리한다) / 음복(조상님께서 남기신 음식을 나눠 먹는다) : 차례 음식과 차례 도구를 뒤에서부터 거두어 정리한다.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이 음복주와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덕을 기린다.
추석 상차림 입니다. 맨 위에 산위가 있으며 1열 국수, 밥, 잔, 국, 시접, 밥, 잔, 국, 송편, 2열에 육전, 육적, 소적, 어적, 어전, 3열에 육탕, 소탕, 어탕, 4열에 포, 삼색나물, 간장, 김치, 식혜, 5열에 대추, 밤 배, 감, 사과, 한과가 있으며 해당 차림은 일반적인 상차림으로 지역이나 지방풍습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추석 상차림의 각 열별 음식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한복 입는 법입니다. 추석의 예를 갖추기 위해서는 정확하게 한복을 입는 방법의 숙지도 필요하기 때문이 안내합니다. 여자 한복입니다.
고름매는 법은 고름을 반듯하게 펴서 양손을 가볍게 잡은 다음 짧은 고름이 위로 가도록 x자 모양으로 뺍니다. 아래쪽 긴 고름으로 고(반리본 모양)를 만든 뒤 위쪽의 짧은 고름을 밑으로 합니다. 왼속으로는 긴고리를 잡고 오른손으로는 짧은 고름을 밑으로 넣어 위로 잡아 뺍니다. 아래 위로 가볍에 잡아 당기면서 완성된 모양을 만듭니다. 아래로 자연스럽게 떨어진 긴 고름과 짧은 고름의 길이 차이는 5~7cm 정도가 알맞으며 노리개 걸이로 고정시켜도 괜찮습니다.
남자한복입니다.
마루폭의 솔기를 발목 안쪽 복사뼈에 댑니다. 발목을 싼 끝을 바깥쪽 복사뼈에 댑니다. 대님을 대고 두 번 돌려서 안쪽 복사뼈에서 한 번 묶습니다. 나머지로 고를 만들어 묶습니다. 바지끝을 내려 보기 좋게 정리하시면 됩니다.
여자 절하는 방법입니다.
손과 팔꿈치가 수평이 되도록 어깨 높이로 들고 고개를 숙입니다.(오른손등이 왼손등 위로 가도록 포갭니다). 포갠 양 손 사이로 시선은 바닥을 향합니다. 먼저 왼박을 구부린 뒤 오른발을 구부린 후 오른발을 아래가 되게 발등을 포갠 후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습니다. 윗몸을 45도 앞으로 반쯤 구부려 절합니다.
남자 절하는 방법입니다.
양손을 포개 양 팔꿈치와 손이 배 부근에서 수평이 되게 합니다.(이때 남자는 왼손이 오른속 위로 올라갑니다.) 허리를 굽혀 손으로 땅을 짚고 왼박을 먼저 구부립니다. 오른발을 구부려 왼발 바닥위에 오른발을 포개 앉습니다. 엉덩이를 발에 붙이고 손을 구부려 양 팔꿈치가 땅에 닿은 상태에서 얼굴이 손헤 닿을 정도로 허리를 굽혀 절합니다.
지방쓰는법 입니다. 지방이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든 위패를 말합니다 깨끗한 흰종이에 고인의 이름 등을 적어 사용하며 위치와 제사지내는 사람과의 관계에 따라 작성법이 달라집니다. 사람이 혼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마치면 소각합니다. 규격은 가로 6cm, 세로 22cm이며 상단 모서리를 조금씩 접거나 잘라 각지지 않도록 만듭니다. 지방의 위를 둥글게 하고 아래를 편평하게 만드는 것은 둥근 하늘과 편평한 땅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고조부모 지방입니다. 현고조고학생부군신위, 현고조비유인청주김씨신위
증조부모 지방 쓰는 법입니다. 현증조고학생부군신위, 현증조비유인안동김씨신위
조부모 지방 쓰는 법, 현조고학생부군신위, 현조비유인광산김씨신위
부모 지방쓰는 법, 현고학생부군신위, 현비유인전주이씨신위
백부모, 현백부학생부군신위, 현백모유인전주이씨신위
형/형수, 현형학생부군신위, 현형수유인김해김씨신위
남편/처, 현벽학생부군신위, 고실유인경주김씨신위
지방 접는 법입니다. 지방을 잘라 붙일 수 없는 상황리면 접어서 만들 수 있습니다. 깨끗한 창호지나 한지 등 백지를 가로 40cm, 세로 25cm, 크기로 준비합니다. 1번 그림처럼 종이를 세로로 4등분해 선을 만든 다음, 2번 그림처럼 양쪽 면을 중심쪽으로 접습니다. 양쪽 모서리를 3번 그림처럼 접은 다음, 뒤집어 4번 그림처럼 삼각형 부분을 위 아래 모두 양쪽으로 꺾어 접어 5번 그림처럼 만듭니다.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을 뒷쪽으로 접으면 7번 그림과 같은 모양이 되는데, 이 상태에서 위아래의 접한 부분을 각각 재끼면 8번과 같은 모양이 됩니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의 예시입니다.
순서대로 접으면 어렵지 않습니다.
추석 차례지내는순서와 함께 각종 관련 정보를 안내하였는데요 추가적으로 추석기간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시간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2020년에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고속도로 통행료가 부과됩니다. 버스전용차로 시행 시간은 9월29일(화)~10월5일(월) 07:00~01:00까지 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 확인을 원하시는 분은 다음포털사이트에서 추석 차례지내는순서, 추석 차례상 차리는방법 등을 검색하시면 원하는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