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비트코인 가격이 폭락하고 있습니다.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 산하 국제회계기준(IFRS) 해석위원회가 영국에서 열린 회의에서 암호화폐를 국제회계기준에 어떻게 적용할지 논의한 끝에 금융자산으로 분류 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입니다. 지난 6월이였지만 금융감독원과 한국회계기준원이 23일 밝힌 영향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IFRS 해석위원회의 유권해석에 따라 암호화폐는 무형자산이나 재고자산으로 분류하게  되었으며 정부의 과세의 기준이 되었다고 합니다. 비트코인 시세 전망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의 여러 의견 살펴보면 아직도 하고 있냐는 의견도 있지만 무엇간가 있다며 지금이 다시 사야할 시기가 다가왔다는 의견들도 있습니다.



비트코인 거래소 빗썸, 업비트 등의 가격을 살펴보면 새벽에 시세가 일제히 폭락했습니다. 현재 기준으로는 약 10,4000,000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지만 불과 24시간 전만하더라도 약 11% 정도의 가격이 하락한 상황입니다. 또한 리플 약 -10% 이더리움 -15%, 이오스 022%, 트론 19% 등 알트코인 등은 더 큰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시세 그래프를 살포보면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 후 2019년 조금씩 반등을 보이며 상승하나 싶었지만 다시 하락세에 접어들었습니다. 사실 많은 사람들이 이제는 그만할때가 됐다면 아직도 하고 있냐는 질문을 던지기도 하지만 이렇게 하락하는데는 이유가 있으며 이후 오히려 반등을 할 것이라 하기도 합니다.




1일 그래프를 보면 불과 어제와 비교를 허다라도 많이 하락한 상황인데 과연 앞으로의 비트코인 전망은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많은 전문가들의 의견이 있지만 주식과는 틀리게 여러 영향을 받는게 사실입니다.



먼저 시세를 살펴보겠습니다. 현지기준입니다. 일반호가로 10,456,000원의 매도와 10,451,000원 매수세가 있네요. 52주 최고가는 2019. 6.26 16,840,000원이였으며 최저가는 2018.12.15 3,562,000원 이였습니다. 당일고가는 11,668,000원이며 저가는 9,800,000원까지 하락했던 걸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하게 봐야할 내용이 최근 52주 동안의 가격차가 엄청납니다. 약5배정도 차이가 나는데 내가 투자한 시점과 현금화한 시점이 언제인가에 따라 엄청난 손해를 보거나 또는 수익을 가져다 줬을거라는 겁니다.



아래는 누적호가 입니다. 수량, 금액, 누적순으로 나와 있습니다.



현재 체결되고 있는 가격, 체결량, 체결금액입니다.



일별현황입니다. 최근 10일동안의 종가 및 전일대비 등락폭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지금부터는 업비트에서 거래되고 있는 모든 코인들의 현재가, 전일대비, 거래대금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순서는 그래대금이 많은 순으로 정리하였습니다. 비트코인(BTC), 리플(XRP), 이더리움(ETH), 이오스(EOS)



비트코인캐시(BCH), 헤데라해시그래프(HBAR), 트론(TRX), 에이다(ADA)



에스브이(BSV), 스텔라루멘(XLM), 라이트코인(LTC), 비트토렌트(BTT)



파워렛저(POWR), 솔브케어(SOLVE), 이더리움클래식(ETC), 퀀텀(QTUM)



트웰브쉽스(TSHP), 캐리프로토콜(CRE), 코스모코인(COSM), 아인스타이늄(EMC2)



코스모스(ATOM), 룸네트워크(LOOM), 콘텐츠프로토콜토큰(CTP), 쿼트체인(QKC)



메탈(MTL), 그로스톨코인(GRS), 질리카(ZIL),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SNT)



오미세고(OMG), 네오(NEO), 웨이브(WAVES), 제로엑스(ZRX)



폴리매쓰(POLY), 펀디엑스(NPXS), 피벡스(PIVX), 티티씨(TTC)



이그니스(IGNIS), 아르고(AERGO), 넴(XEM), 베이직어텐션토큰(BAT)



쎄탸퓨엘(TFUEL), 시빅(CVC), 아더(ARDR), 무비블록(MBL)



스팀(STEEM), 스트라티스(STRAT), 골드(BTG), 리퍼리움(RFR)



메디블록(MEDX), 오에스티(OST), 아이콘(ICX), 앵커(ANKR)



스톰(STORM), 에브리피디아(IQ), 온톨로지가스(ONG), 엔진코인(ENJ)



엘프(ELF), 기프토(GTO), 골렘(GNT), 메인프레임(MFT)



센티넬프로토콜(UPP), 지캐시(ZEC), 카이버네트워크(KNC), 온톨로지(ONT)



아이오에스티(IOST), 모네로(XMR), 썬더토큰(TT), 아이오타(IOTA)



쎄타토큰(THETA), 모스코인(MOC), 아크(ARK), 스토리지(STORJ)



디센트럴랜드(MANA), 엔도르(EDR), 시아코인(SC), 디마켓(DMT)



스팀달러(SBD), 코모도(KMD), 애드토큰(ADT), 어거(REP)



애드엑스(ADX), 왁스(WAXP), 시린토큰(SRN), 대시(DASH)



리스크(LSK), 크림토닷컴(MCO), 버트코인(VTC), 가스(GAS), 디크레드(DCR)



비트코인 시세를 살펴봤습니다. 그렇다면 전반적으로 하락하였는데 앞으로의 전망은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사실 정답은 없습니다. 앞으로의 가능성을 정확히 알고 있다면 모두가 부자가 되었을 겁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누군가의 얘기를 듣는 것보다 내가 직접 판단하고 결정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판단해야 하는 기준이 있는데 가장 쉬운 방법은 뉴스, 규제/정책 등을 살펴보는 것입니다. 업비트에서 암호화폐 뉴스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일반, 규제/정책, 산업/테크, 칼럼/인터뷰 내용을 구분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증권 거래소 트레이더 출신 유명 에널리스트 크립토 마이클(Crypto Michael)은 트위터를 통해 가격이 현재 가격 수준인 9,700달러를 유지하지 못하면 새로운 5개월 최저치로 하락할 위험에 처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7,500달러 지지선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합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월셔 피닉스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결정을 연기했다고 코인데스크가 24일 보도했다고 합니다. 이와 같은 어려 정보를 종합하여 결정이 필요합니다. 현재 하락으로 인한 분위기가 안좋다고는 하지만 주간 상승률을 보면 최고 198%까지 상승한걸 보면 어떤 종복을 선택했냐에 수익을 내는 분들도 분명 있습니다. 다만 이런 종목을 선택하는 것 자체가 어려운게 사실입니다. 그만큼의 위험성도 가지고 있습니니다.



지금까지 비트코인 시세, 전망을 알아봤는데요. 가장 중요한 것은 첫번째로 내가 보유하고 있는 여유자금으로 투자하는 것이며 두번째로 목표율을 정해서 현금화하는 것입니다. 이 두가지를 지키고 전망을 살피면서 분석하고 진입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수도 있다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두가지를 지키지 못하여 감당할 수 없는 손해를 본다면 힘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신중하게 고민하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꼭 가상화폐만이 아닌 여러곳으로 분산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