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장마기간 동안 태풍으로 부터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한 태풍 대비 행동요령에 대해 안내하겠습니다. 매년마다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는데요.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미리 준비한다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현재도 2017년 제3호 태풍 난마돌이 북상하고 있으니 태풍 대비 행동요령을 숙지하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지금부터 안내하는 매뉴얼은 다운로드 후 출력하여 가정, 사무실, 학교 등에 비치하여 충분한 습득으로 재난이 발생했을 때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우리나라는 매년 여름철 태풍이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집중호우를 동반하여 피해를 가중시키고 있는데요.
태풍 예보 및 경보 발효 시 자신이 있는 장소에서 행동해야 하는 방법 등을 안내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태풍(typhoon)이란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는 저기압을 열대 저기압 이라합니다. 이중 북서태평야에서 중심부근 최대풍속이 17m/s 이상으로 발달하는 열대저기압을 태풍이라 부릅니다.
호우(heavy rain)란 많이 비가 오는 것을 뜻하며 특히 단 시간에 많은 비가 올 때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평균적인 강우보다 많은 비가 올 때를 집중호우라고 합니다.
2006년부터 2016년 동안 태풍 호우로 인하여 평균 10건을 재해 발생과 21.6명의 인명피해 및 4,831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하천범람, 산사태, 해일 등으로 이어져 지산 및 인명피해를 유발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와 사전 대비가 필요합니다.
태풍 대비 행동요령
태풍예보시에는
가정의 하수구나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하고 막힌 곳을 뚫어야 합니다.
침수나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시다.
하천 근처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응급 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등의 생필품은 미리 준비합시다.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을 단단히 고정합시다.
태풍의 영향권에 있을 시에는
저지대·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운전 중일 경우 감속운행합시다.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해둡시다.
송전탑이 넘어졌을 경우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둡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물에 잠긴 도로로 걸어가거나 차량을 운행하지 맙시다.
대피할 때에는 수도와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둡시다.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태풍이 지나간 후에는
파손된 상하수도나 도로가 있다면 시·군·구청이나 읍·면·동사무소에 연락합시다.
침수된 집안은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으니 환기시킨 후 들어가시고 전기, 가스, 수도시설은 손대지 마시고 전문업체에 연락하여 사용합시다.
제방이 붕괴될 수 있으니 제방 근처에 가지 마시고,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바닥에 떨어진 전선 근처에 가지 맙시다.
태풍예보 시에는 도시지역에 살고 계신다면
저지대·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운전 중일 경우 감속운행합시다.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합시다.
송전탑이 넘어졌을 경우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 둡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대피할 때에는 수도, 가스, 전기는 반드시 차단합시다.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농촌지역에 살고 계신다면
저지대·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감전위험이 있으니 고압전선 근처에 가지 맙시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바람에 지붕이 날아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고 바람에 날아갈 수 있는 물건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송전탑이 넘어졌을 경우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 둡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집주변이나 경작지의 용·배수로를 점검합시다.
산간계곡의 야영객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비닐하우스 등의 농업시설물을 점검합시다.
해안지역에 살고 계신다면
저지대·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합시다.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해안도로로 운전하지 맙시다.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합시다.
송전탑이 넘어졌을 경우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 둡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바닷가 근처나 저지대에 계신 주민은 대피 준비를 합시다.
어업활동을 하지 마시고 선박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어로시설을 철거하거나 고정합시다.
해수욕장 이용은 하지 맙시다.
태풍예보 시에는 도시지역에 살고 계신다면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합시다.
건물의 간판 및 위험시설물 주변으로 걸어가거나 접근하지 맙시다.
태풍 대비요령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기상특보기준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종류에 따라 주의보와 경보로 구분됩니다. 종류는 태풍, 호우, 강풍, 풍량, 폭풍해일이 있습니다. 주의보가 낮은 단계이며 경보가 높은단계로 위험을 경보하기 때문에 더욱더 주의하셔야 합니다.
강도크기 입니다. 소형은 300km 미만으로 강도은 약이며 최대풍속은 17m/s(34kts)이상 ~ 25m/s(48kts)미만입니다. 이후 중형, 대형, 초대형이 있으며 초대형은 800km 이상으로 매우 강하며 44m(85kts)이상을 말하며 자세한 내용을 아래 표를 참조해주세요.
태풍 대비 행동요령에 대해 안내하였습니다. 태풍 대비 행동요령에 대해 안내하였습니다.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 안내하였는데요. 출력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첨부하겠습니다.
태풍 국민행동요령 매뉴얼 입니다. 출력해서 숙지하시고 비치하시기 바랍니다.